
[서울=글로벌뉴스통신] 서울 성동구(구청장 정원오)가 2025년 ‘스마트도시’ 인증을 획득하며, 2021년 최초 인증 이후 세 번째 인증이라는 성과를 달성했다. 이에 따라 성동구는 2027년까지 ‘스마트도시’ 자격을 유지하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2021년부터 국내 도시들의 스마트화 수준을 진단하고 우수 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스마트도시 인증제’를 운영하고 있다. 성동구는 인구 50만 명 미만 중소도시 부문에서 우수 지자체로 선정돼 ‘스마트포용도시’ 위상을 다시 입증했다.
성동구는 전국 최초로 스마트포용도시 비전을 선포하고,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국 단위 스마트도시 전담 조직인 ‘스마트포용도시국’을 운영하며 다양한 스마트 사업을 추진해왔다.
주민 아이디어를 정책에 반영하는 ‘성동형 리빙랩’, 성수동 IT·첨단기업과 협력한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모델 구축, ‘성동형 스마트쉼터’, ‘스마트횡단보도’, ‘스마트흡연부스’ 등 생활밀착형 인프라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대표 정책인 ‘성동형 스마트쉼터’는 2020년 도입 이후 총 56개소가 설치돼 누적 이용자 1,270만 명을 돌파했으며, 올해 영국 ‘그린월드 어워즈’, 이탈리아 ‘A'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하며 국제적으로도 성과를 인정받았다.
또한 ▲ OECD 공공부문 혁신사례에 선정된 ‘스마트횡단보도’ ▲ 흡연 갈등 해소를 위한 ‘스마트흡연부스’ ▲ 침수·악취 문제 해결 ‘스마트빗물받이’ ▲ 실시간 도시 데이터 기반 ‘스마트도시통합운영센터’ 등 다양한 스마트 정책을 확대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이번 인증은 구민·기업·행정이 함께 이뤄낸 결과이자 성동구가 대한민국 대표 스마트도시로 자리매김했다는 의미”라며 “앞으로도 구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스마트 사업을 확대하고,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스마트포용도시’ 구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