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주민 채용기업 10곳 중 7곳, 성품과 태도 중시
상태바
탈북주민 채용기업 10곳 중 7곳, 성품과 태도 중시
  • 권혁중 기자
  • 승인 2013.06.15 20: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업이 북한이탈주민 채용을 결정할 때 ‘교육과 경력’(15.3%)보다는 ‘성품과 태도’(73.0%)를 가장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기업들은 또한 북한이탈주민들이 직장 적응에서 부딪치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 ‘능력이나 기술부족’이 아니라 ‘남한사회와 직장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을 꼽았다.

 경기개발연구원 최창옥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도 북한이탈주민 취업실태와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국내 최초로 경기도 소재 300개 북한이탈주민 채용기업을 대상으로 북한이탈주민 채용경로와 동기, 채용시 우선시하는 자격요건, 직장 내 남한동료와의 관계, 북한이탈주민 채용 확대와 직장 정착을 위해 필요한 정책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북한이탈주민 채용 동기를 묻는 질문에 ‘같은 동포로서 도와주고 싶다’는 응답이 1순위와 2순위 응답을 합해 58.6%를 차지한 반면 ‘고용지원금 수령’은 27.6%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용경로는 ‘아는 사람을 통한 소개’(34.7%)와 같은 사적인 경로가 공적인 채널인 ‘고용지원센터’(23.7%)에 비해 훨씬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북한이탈주민들의 가장 큰 취약점이 사회적 관계망 부족임에도 불구하고 실제 취업에서는 사적인 경로에 주로 의존하고 있어 공적인 취업알선제도의 개선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한편 고용주들은 직장 내에서 남한출신 직원들이 북한이탈주민 직원으로부터 느끼는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직설적인 의사표현’(38.0%), ‘언어문화 차이’(29.3%), ‘일에 대한 태도’(23.3%) 등과 같은 남북한 의사소통 및 직업윤리의 차이를 지목해, ‘업무 지식 및 기술 부족’(37.7%)등에 의한 불만보다 우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북한이탈주민 취업과 직장 적응을 위해 가장 절실한 교육훈련으로는 ‘직장내 의사소통과 동료관계’(29.0%), ‘남한의 생활문화 이해’(18.3%), ‘근로의식 및 직업윤리’(17.7%) 등이 높게 나타나 ‘직무 교육과 훈련’(21.0%)과 비슷하거나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정부의 취업 장려금 제도가 단기실적에 치중하고 있다면서 이 때문에 “직업훈련 및 교육 이수가 취업 준비가 아니라 장려금 수령을 위한 경우가 많아 실제 취업과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결과적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은 적성과 경력에 맞는 일자리를 찾아볼 겨를도 없이 곧장 임시직과 일용직 등 고용이 불안한 저임금 일자리로 내몰리게 되어 경제적 자립을 오히려 방해받고 있다는 것이다.

 최 선임연구위원은 “기존 설문조사들은 한결같이 북한이탈주민을 조사대상으로 해왔기 때문에 채용기업들의 경험과 생각과는 거리가 있다”며, “북한이탈주민의 채용여부를 사실상 결정하는 것은 고용주들이기 때문에 이들이 채용 현장에서 체득한 관찰과 경험이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정착교육과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반영되는 것이 북한이탈주민의 취업현실을 개선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인 정착과 취업을 돕기 위해서는 이들의 사회 진출과 취업에 앞서 ‘초기적응 멘토링 프로그램’ 등을 도입해 남한사회와 직장문화를 이해하고 체험하면서 자신의 눈높이를 조절하고 적성에 맞는 일자리도 찾아 볼 수 있도록 일정기간(3~6개월)의 완충기간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