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도 119 오접속 1,176,110건
상태바
2015년도 119 오접속 1,176,110건
  • 권혁중 기자
  • 승인 2016.05.31 07: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글로벌뉴스통신]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15년 한 해 오접속신고가 117만건으로 전체 119신고건수(1,041만건)의 11%를 차지한다고 발표하였다.

오접속신고는 의도치 않게 119를 잘못 눌러 소방상황실에 연결된 신고를 말하며,주요 원인은 잠금기능* 걸린 휴대폰이 바지 주머니나 가방에서 눌리어지거나, 부모가 준 휴대폰을 유아들이 만지다가 긴급신고 버튼을 눌러서 신고되는 경우로 파악되었다.

숫자 또는 패턴을 걸어 본체의 버튼이 동작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말하며, 잠금기능 상태에서도 소방서나 경찰서 등 긴급전화 신고는 가능

스마트폰이 급속히 보급되었던 지난 2011년도에는 전체 119신고 중 약 42%(801만건)가 오접속되어 119상황실의 소방력 낭비가 심각한 상황이었다.

이와 같은 오접속 신고를 줄이기 위하여 국민안전처(구 소방방재청)에서는 ’11년부터 이동통신사 및 휴대폰제조사와 협업하여 휴대폰의 ‘긴급전화’ 신고기능 개선을 추진하였다.

당초에는 휴대폰 긴급전화 목록에 ‘구급차’, ‘소방서’, ‘산악구조대’ 3개 코드로 되어 있던 것을 하나의 코드(‘소방서’ 또는 ‘화재구조구급’)로 단일화하였고,또한 긴급통화 시 목록에 있는 ‘소방서’를 누른 후 연결확인창의 ‘통화’버튼을 눌러야만 신고되도록 하였으며,이러한 기능을 개선하여 2012년부터 출시되는 휴대폰에 적용한 결과 오접속 건수는 지난 5년간 85%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여전히 유아가 휴대폰을 만지다가 긴급전화 버튼을 누르는 등 오접속이 되고 있어 이로 인한 상황실 수보요원의 불편함은 계속되고 있다.

이에 국민안전처 이창화 소방장비항공과장은 “오접속 신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휴대폰 취급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