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성 의원,'첫만남 이용권' 받은 해외 출생아 작년 1750명 
상태바
이종성 의원,'첫만남 이용권' 받은 해외 출생아 작년 1750명 
  • 임말희 기자
  • 승인 2023.10.23 16: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글로벌뉴스통신DB)국민의힘 이종성 국회의원
(사진:글로벌뉴스통신DB)국민의힘 이종성 국회의원

[국회=글로벌뉴스통신]정부가 모든 출생아에게 지급하는 200만원 상당의 ‘첫만남 이용권’을 받은 해외 출생 아동이 지난해 1,750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만남 이용권'은 정부가 저출산 대책 일환으로 모든 출생아에게 지급하는 복지 바우처이다. 출생신고 후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으면 출생아 보호자의 국민행복카드에 200만 원 어치의 포인트 형태로 들어와 출생일로부터 1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이 23일(월)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첫만남 이용권을 제공받은 24만 573명 중 해외 출생아동은 1,750명이었으며, 올해 7월 말 기준 13만 9,930명 중 1,593명이 해외 출생아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는 현재 해외 출생 아동의 첫만남 이용권 수급에 대한 별도의 제한을 두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해외에서 아이를 낳은 뒤 잠깐 국내에 들어와 출생신고를 하고 첫만남 이용권만 신청한 뒤 다시 귀국하는 이들이 생기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복수 국적을 가진 아동까지 현금지원을 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는 상황이다.

특히, 만 8세 미만 모든 아동에게 10만 원 씩 지급되는 ‘아동수당’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가지 않는 86개월 미만 아동에게 월 10~20만 원씩 지급되는 ‘양육수당’의 경우, 수당을 받던 아동이 90일 이상 해외에 체류하면 더 이상 수당을 받을 수 없는 ‘해외체류 지급정지’ 요건이 있어, 이에 대한 검토가 시급하다.

이종성 의원은 “첫만남 이용권은 초저출산 시대의 저출산 대책 중 하나인 만큼, 제도의 효과성과 다른 복지급여와의 형평성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첫만남 이용권 제도 설계에 대한 보완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