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그날의 함성과 염원, ‘독립’을 달구다
상태바
1919년 그날의 함성과 염원, ‘독립’을 달구다
  • 권혁중 기자
  • 승인 2014.02.27 01: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기록원, ‘3.1운동 판결문’ 자료집 발간

 1919년 3월 27일 오후 1시, 옥천군 이내면 이원시장 장날에 모인 300명이 조선 독립 만세를 부르짖을 때 헌병의 발포로 한 명이 즉사하자, 피고 공재익은 솔선하여 헌병에게 “사람을 살해하고 그대로 끝난다고 생각하느냐?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군중을 집으로 돌려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완강하게 항쟁하고, 피고 조기시・최덕용・이금봉도 주재소를 향해 돌을 던짐으로 군중이 기세를 타 돌을 던지고 또 곤봉 등을 흔들어 헌병을 폭행하기에 이르렀다.<1919년 5월 12일, 공재익・조기시・최덕용・이금봉 판결문 중>

 △ 1919년 5월 12일 일제가 판결한 충남 옥천군 이원시장 3·1운동 관련자인 공재익・조기시・최덕용・이금봉의 판결문 일부이다. 공재익 등은 이원시장 만세시위를 주도하다 헌병의 발포로 동료가 사망하자 주재소에 돌을 던지는 등 격렬히 항의하였다. 이들은 일본경찰에 의해 체포되어 징역 2년에서 3년형을 선고받았다. 

 안전행정부 국가기록원(원장 박경국)은 3.1운동으로 재판받은 55건(220명)을 선별하여 독립운동 관련 판결문 자료집(3・1운동Ⅰ)을 발간했다고 26일(수) 밝혔다.

 이번 자료집은 국가기록원이 소장한 일제강점기 판결문(2,673권) 중에서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서울・경기, 강원, 충청도 지역의 3.1운동 판결문을 선별한 것으로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수록하였다.

 그간 판결문 원문은 한문과 일본어로 쓰여져 일반인이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번 자료집 발간으로 각 지역 3・1운동 연구와 일반인의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일제가 기록한 220명의 판결문은 각 지역에서 치열하게 전개되었던 3・1운동의 다양한 사례를 잘 보여준다. 

 강원도 횡성에서 1919년 3월 27일 만세시위를 주도했던 신재근은 당시 64세였다. 그는 장도훈 등과 태극기 1폭과 5촌(寸) 크기의 종이로 만든 태극기 20매와 독립선언서 40매를 시장에 모인 300여 명에게 나누어주고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절규하였다. 그는 이른바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2년을 선고받았다. 

 충남 천안 광명학교 여학생 민옥금・한이순・황금순 등은 3월 20일 천안 입장면 양대 장터 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이웃한 병천의 유관순열사의 봉기보다 십여 일 앞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한 것이다. 3월 20일 오전 10시 무렵, 이들은 학생 약 80명을 인솔하여 양대리 시장에서 태극기를 흔들고 “조선 독립만세”를 외쳤다. 민옥금은 17세, 한이순과 황금순은 18세였는데 모두 징역 1년에 처해졌다. 

 이은선은 3월 24일 인천 계양 장기리 시장에서 심혁성․임춘성 등이 이끄는 독립만세 운동에 참가했다. 그는 300여 명이 모인 장기리 황어장터에서 체포된 심혁성을 구하려다 일제 순사의 칼에 찔려 현장에서 순국한 잘‘알려지지 않은 열사’이다.

 또한, 이번에 발간된 자료집은 3.1운동의 전개 양상과 참여 주체를 파악할 수 있는 내용들을 담고 있다. 

 서울에서 일어난 3.1운동은 각 지방으로 파급, 3월 하순부터 4월에 이르기까지 계속되었음을 보여준다. 주로 서울에서 선포된 선언서나 그 취지에 적극 동조하며 장이 열리는 시장에서, 고개에서, 산봉우리 등에서 만세운동을 전개하고, 일제의 식민통치 기관인 면사무소, 군청, 주재소, 우편소 등을 대상으로 만세운동을 펼쳤다. 

 그리고 3.1 운동 참여층은 연령뿐만 아니라 직업도 다양하다. 16세 학생부터 70에 가까운 노인까지, 교사와 학생은 물론 농부, 인력거꾼, 잡화상, 이발사, 승려, 날품팔이, 수공업자, 의사, 시계수리공, 야채행상 등 연령과 계층을 불문하고 ‘대한 사람’ 모두가 3・1운동의 참여 주체였음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한편, 국가기록원은 자료집 발간과 더불어 독립운동관련 판결문을 선별하여 홈페이지‘독립운동관련 컬렉션’에서 공개하고 있다. 올해 사업이 마무리되면 인명은 물론 지역별.죄명별로 검색하여 독립운동관련 2만 4천여 명의 판결문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볼 수 있다.

 박경국 국가기록원장은 “이번에 발간된 자료집이 3.1운동 연구에 도움이 되고, 3.1절을 맞아 국민들과 함께 민족정신을 기리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