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지사, "브랜드시책 로드맵" 발표!!
상태바
이낙연 지사, "브랜드시책 로드맵" 발표!!
  • 임호산 기자
  • 승인 2015.01.07 21: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섬", "숲" 브랜드시책 "주민 주도로”-

   
▲ (사진제공:전남도청) 이낙연 지사가 도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브랜드시책인 ‘가고 싶은 섬, 가꾸기와 ’숲 속의 전남‘ 만들기 로드맵을 발표하고 있다.
【전남=글로벌뉴스통신】이낙연 전라남도지사는 1.7일 “민선6기 브랜드시책인 ‘가고 싶은 섬’, ‘숲 속의 전남’은 주민 정주여건 개선 및 소득 증대와 연계하고, 숲 3만1천ha를 조성하는 데 역점을 두며, 주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토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이날 도청 브리핑룸에서 ‘민선6기 브랜드시책 10개년 계획’을 발표했다. ‘가고 싶은 섬’ 가꾸기에 대해선 “전남에는 2천219개의 섬이 있다”며 “이 중 풍광과 생태․역사․문화 자원이 풍부하고, 시ㆍ군과 주민 동참 의지가 강한 24개 섬을 추진하되, 올해는 6개 섬, 이후 매년 2개 섬을 추가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소요 예산은 올해부터 10년간 국비 1천64억 원, 도비 564억 원, 시군비 1천5억 원, 총 2천633억 원이다.

이어 “이 사업의 목표는 섬 여행자를 현재 연간 600만 명에서 10년 후 1천200만 명으로, 귀어가는 257가구에서 760가구로, 가구당 소득은 3천900만 원에서 5천900만 원으로 올리는 것”이라며 “섬 고유의 자연과 문화의 매력, 역사와 삶의 향기를 살리고 여기에 스토리텔링을 적용해 여행자의 상상력을 자극, 방문객에게 즐길거리를 주고, 주민에게는 정주여건 개선 및 소득 증대로 연결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9월 홍도 유람선 좌초사고 당시 탑승객 전원을 구조한 ‘홍도 주민구조대’의 교훈을 살려 섬 주민이 직접 안전을 높이고, ‘주민 여행사’를 운영하는 등의 적극적인 참여노력도 당부했다.

또 “섬 둘레길을 잘 가꿔 ‘비렁길’로 브랜드화한 여수 금오도, 슬로길 등으로 감성 이미지 홍보에 성공한 완도 청산도, 자연환경의 매력을 살려 민자를 유치하고 금연과 자전거의 섬 이미지를 살린 휴양의 섬 신안 증도 등 이미 성공사례를 갖고 있다”며 “이를 모델 삼아 부족한 것을 보완한다면 전남의 섬은 힐링의 명소, 세계적 휴양 관광지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숲 속의 전남’ 만들기에 대해선 “‘경관 숲’과 ‘소득 숲’으로 나눠 추진하되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나무심기 지원조례’ 제정을 서두르겠다”며 “전남지역 산림의 공익가치는 2013년 14조 원에서 사업계획이 종료되는 2024년 30조 원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소요 예산은 올해부터 10년간 국비 2천605억 원, 도비 740억 원, 시군비 1천845억 원, 민간 110억 원 등 모두 5천300억 원이며 숲 조성 규모는 전남 곳곳에 3만 1천ha다.

‘경관 숲’의 경우 “생활 주변 자투리 땅과 유휴지, 도로와 철도역 주변, 나들목, 산업단지와 농공단지, 신도시에 가장 어울리는 나무를 심고, 도시에는 공원, 도시숲, 가로수, 하천변 수림대 등을 조성, 도시 외곽 숲과 녹색띠로 연결되도록 하겠다”며 “빛가람 혁신도시와 남악 신도시부터 나무를 심어 도시 지역 ‘경관 숲’의 모델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또 “학교 여유 부지에 나무를 심어 미래세대가 숲의 가치를 체감토록 하고, 사회복지시설에도 녹지 공간을 조성해 이용자들의 정서순화에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소득 숲’의 경우 “야산, 한계농지, 간척지, 공유지, 기타 숲 관리가 용이한 지역에 돈이 되는 나무를 단지화하고, 건축용 또는 버섯용 목재, 숯 등의 생산을 위한 전략수종이나 고령화․건강지향의 시대에 맞는 견과류와 밀원수, 한반도 기후 온난화 첨병 지역으로서 난대수종 등을 집중적으로 심겠다”며 “장흥 우드랜드,장성 축령산 편백숲과 같이 건강에 좋은 나무를 대단위로 심어 휴양․치유 공간으로 활용하고, 이미 조성된 공원과 도시숲, 가로수 등을 잘 돌보도록 주민 등이 참여하는 ‘숲 돌보미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지사는 “두 시책 모두 일상적 도정이 아니라, 긴 호흡을 갖고 10~20년 후인 다음 세대에 효과가 나타날 사업으로 주민이 참여하는 공모방식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중간 가교 역할은 시ㆍ군이 하고 시ㆍ군은 읍ㆍ면ㆍ동을 통해 주민과 소통, 청년회와 여성단체, 새마을회가 주도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