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박물관, '인간의 오랜 벗, 개’ 테마전시 개최
상태바
부산박물관, '인간의 오랜 벗, 개’ 테마전시 개최
  • 이상철 기자
  • 승인 2018.02.11 20: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8 무술년 개띠 해맞이 테마 전시
(사진제공:부산시) 목조십이지신부조상(개) 청원(淸源) 스님, 어미 개와 강아지(복제) 이암(1506~1566)

[부산=글로벌뉴스통신] 부산박물관(관장 이원복)은 2018 무술년(戊戌年) 황금 개띠 해를 맞이하여 2월 9일부터 7월 1일까지 테마 전시『인간의 오랜 벗, 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07년부터 시작하여 올해 12번째를 맞이하는 띠 전시는 그 해 십이지 동물과 관련된 우리 전통 문화와 민속을 소개하고, 새해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시민과 함께 나누고자 하는 바람을 담고 있다.

한자문화권인 동아시아에서는 하늘의 기운을 나타내는 10개의 천간(天干)과 12개의 지지(地支)를 간지(干支)라고 하며, 이 둘을 조합하여 연도나 날짜를 나타낸다. 2018년은 천간의 무(戊)와 지지의 술(戌)이 만나 60간지 중 35번째의 해인 무술년(戊戌年)이다. 무는 오방색 중 황색을 의미하고, 술은 개를 의미하므로 무술년은 황금 개띠 해이다.

개는 동물 중 가장 먼저 인간과 함께해온 가장 친근한 동물로 다정하고 믿음직한 인간의 오랜 벗이다. 선사시대 이래로 식량이었고, 인간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 특유의 충성심, 용맹성, 영리함으로 ‘충직’과 ‘수호’를 상징한다.

(사진제공:부산시) 어미 개와 강아지(복제) 채용신(1850~1941), 청삽살개 김숙경(개인), 황삽살개 김숙경(개인)

땅을 지키는 십이지신 중 열한 번째 동물인 개는 서북서 방향을 지키는 방위의 신이자 19시~21시를 담당하는 시간의 신이다. 또한 개는 도둑으로부터 집을 지키며 악귀를 쫓고 거주 공간을 수호하는 존재로도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동국세시기』에는 ‘개 짖는 소리에 묵은해의 재앙이 나간다’, ‘새해가 되면 부적으로 그린 호랑이는 대문에, 개는 광문에, 해태는 부엌문에, 닭은 중문에 붙인다’라고 하여, 액을 막는 주술적 의미로 개 그림을 세화(歲畫)나 부적으로 사용하였다.

개는 한자로 ‘술(戌)’이고, 술은 ‘지킬 수(戍)’와 글자 모양이 비슷하며, ‘지킬 수(戍)’는 ‘지킬 수(守)’, ‘나무 수(樹)’와도 음이 같다. 즉, 나무 아래 개는 ‘술수수수(戌戍樹守)’로 ‘도둑맞지 않게 잘 지킨다’는 뜻이다. 나무 아래서 어미 개가 새끼를 돌보는 모습은 가정의 화목을 도둑과 잡귀로부터 지킨다는 의미이며, 긁는 개는 집안에 복을 가져온다고 여겼다.

개는 민화 범주인 세화 외에 감상용 일반회화에서 즐겨 그려진 소재이다. 이암(李巖, 1507~1566)과 이경윤(李慶胤, 1545~1611)과 김두량(金斗樑, 1696~1763), 김홍도(金弘道, 1745~1806 이후), 장승업(張承業, 1843~1897) 등 조선 초기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 문인화가와 화원들이 남긴 명화들이 다수 전한다.

마당이 사라지고 고층 아파트 등이 빌딩 숲을 이루는 오늘날, 귀신을 쫓고 집을 지키던 개의 전통적 역할과 상징은 많이 퇴색했다. 그러나 마당에서 실내로 들어와 한층 더 밀접해져 인간과 소통하고 공감하면서 인간의 정서적 빈곤감을 채워주고, 육체적 한계를 도우는 등 반려동물로 역할이 커졌다.

부산박물관 동래관 2층 서로비에서 마련되는 이번 전시는 무형문화재 제20호 목조각장(木彫刻匠) 청원스님이 제작한 <목조십이지신부조상(개)>을 비롯하여 조선 회화 속 개 이미지, 개를 주제로 한 현대 세화(歲畫) 작품 12점 등이 소개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