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매출 개선에도 정유‧조선‧자동차는 코로나 前 수준 회복 어려워
상태바
하반기 매출 개선에도 정유‧조선‧자동차는 코로나 前 수준 회복 어려워
  • 권혁중 기자
  • 승인 2021.07.19 0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글로벌뉴스통신]주력 제조업의 올해 하반기 매출액과 수출액은 2020년 및 2019년보다 개선될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대비 기저효과가 줄고 업종별 편차도 클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우리나라 수출 주력업종별 한국반도체산업협회(반도체), 한국자동차산업협회(자동차), 한국석유화학협회(석유화학), 대한석유협회(정유),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조선),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자동차부품), 한국바이오협회(바이오헬스), 한국섬유산업연합회(섬유),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가전)  정책 담당 부서장들을 대상으로「2021년 상반기 실적 및 하반기 전망 조사」를 실시하고, 9개 주력 제조업의 최근 2년간 경영실적 대비 하반기 전망을 제시했다.

조사 대상 제조업의 올해 하반기 매출액은 전체 평균 기준으로 2020년 및 2019년 대비 모두 개선(각각 8.9%, 2.5%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정유’, ‘조선’, ‘자동차’ 등 일부 업종의 매출액은 코로나19 발발 전인 2019년 하반기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정유’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해 항공유를 중심으로 주요 석유제품의 수요 회복 지연에 따른 역성장이 예상된다. ‘조선’의 경우 선박 신규 수주 실적이 매출에 반영되기까지 2~3년 내외의 시차가 발생하는 업종 특성상, 최근의 수주 증가가 곧바로 실적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동차’는 자동차용 반도체 수급 문제 지속과 내수 판매의 상대적인 부진이 우려된다.

한편, ‘반도체’와 ‘석유화학’은 2019년 대비 20% 이상의 매출 성장이 전망됐다. ‘반도체’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요 지속 및 가격 상승, 대형 데이터센터용 서버 반도체 수요 확대 등의 수혜가 예상된다. ‘석유화학’은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제품가격 상승효과, 전방산업의 수요 회복이 반영됐다.

그 밖에 ▲바이오헬스(코로나19 진단키트 등 수요 지속) ▲가전(코로나19로 인한 ‘집콕’소비 증가에 따른 프리미엄 제품군 판매 확대) ▲섬유(마스크 등 방역용품 수요 지속) 등도 2019년 하반기 대비 소폭의 실적개선이 예상됐다.

전경련 관계자는 “2019년보다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업종들의 경우, 대체로 코로나19 관련 제품의 소비 확대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19에 따른 기저효과와 특수성으로 인한 외관상의 성장을 배제한다면, 업종에 따라 본격적인 수요 회복과 경영실적 개선으로 보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언급했다.

9개 주력 제조업의 올해 상반기 전체 평균 매출액은 2020년 대비 14.4%, 2019년 대비 6.0% 증가했으며, 수출액은 각각 32.7%, 14.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매출액의 경우 2020년 대비 8.9%, 2019년 대비 2.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수출액은 각각 20.0%, 12.3% 증가로 예상됐다. 

주력 제조업의 하반기 실적 증가율은 상반기보다 낮을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수요 확대에도 불구하고, 기저효과 감소 및 델타 변이 등 코로나19의 국지적 확산에 따른 교역 부진으로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예측됐다. 또한 내수 위축으로 인해, 매출액 예상 증가율은 수출액 증가율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낮을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주력 제조업의 위험요인으로는 ‘원자재 리스크(국제유가, 원재료 수급 등)’가 가장 큰 것(33.4%)으로 나타났다. 이어 ▲정책 리스크(18.5%) ▲노동 리스크(11.1%) ▲물류·운송 리스크(11.1%) 등으로 조사됐으며, 기타의견으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상향’이 제기됐다.

전경련 관계자는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주력 제조업 기업들의 최근 가장 큰 애로사항은 ‘원자재(Raw Material)’, ‘규제(Regulation)’, ‘노동(Labor)’, ‘물류(Logistics)’ 등 ‘2R2L’로 요약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원재료비 상승에 따른 수익성 악화, 국내외 규제 강화 대응, 노동 경직성, 선박 및 컨테이너 수급난과 물류 운임 상승에 따른 기업 부담이 큰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우리나라 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기업 투자활동에 대한 세제지원 확대(37.1%) ▲기업 규제 완화(22.2%) ▲노동유연성 확대 및 임금 안정화(11.1%)를 지목했다. 그밖에 ‘원자재 수급 안정화 지원’, ‘온실가스 감축 및 환경규제의 합리적 수준 설정’도 필요하다는 기타의견도 있었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가운데 우리 제조업 기업들이 고군분투해 선방하고 있지만, 국제원자재 가격과 물류비용이 급등하고 부품소재 수급도 불안정한 상황이다”고 우려했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고 탄소중립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한 부담도 큰 만큼, 산업구조 개편과 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강구하고 관련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