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 기능 인력을 키우는 국가전략
상태바
제조업 기능 인력을 키우는 국가전략
  • 김준성 기자
  • 승인 2013.03.20 20: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조업이 약하면 약소국이다.

 최근 일본은 기술 기능 인력 자격증을 보유한 이들을 재 파악한다. 이를 통해 국가능력을 기술력과 기능력을 보유한 인재로 특화하는 정책을 강화 중이다.

 제조업을 강하게 키워서 일본의 제2의 전성기를 산업에서 만들어서 제조분야에서 장기적으로 일자리를 만드는 일에 최선을 다하려는 정책으로 일본 자민당은 움직이는 중이다.

 미국은 이런 일본의 움직임에 관찰력을 발휘하면서 13년 이상된 기능 인력등의 육성에 국가 예산의 상당부분을 투자하는 중이다. 하원의원들은 오마바의 설득으로 미국 기능인력을 키우는 일에 세밀하게 접근하는 중이다.

 금형, 용접, 기계 기술을 응용하여 융합 기술자와 기능인들을 키우는데 버락 오바마 미국대통령은 국가 역량을 강화하는 중이다. 기술자, 숙련된 기능을 가진자가 애국자라는 국가주의자에 근접한 오바마 미국대통령의 연설을 이제는 자주 듣게 되고 미국의 제조업을 키우려는 국가 전략에 치중하는 셈이다.

 틈이나면 한국 교육을 칭찬하지만 한국 교육은 칭찬만 받기에는 너무 취약한 구석이 많은 환경하에 존재하는 것이 진실인 것을 누가 부인할 수 있을까?

 2012년 재선의 고비를 롬니와  치열한 경쟁에서 승리한후에 그는 미국의 청년들이 원하면 테스트를 거쳐서 생산 시스템 및 설계 엔지니어링( Manufacuring System & design Engineering) 프로그램에서의 교육을 강화하는 정책을 집중하는 셈이다.

 이것 만이 아니다. 독일은 글로벌 첨단 시장에 한국의 중소기업 규모 정도가 되는 기업들이 일종의 기술개발을 한다. 이들의 시장을 도우려는 강소기업인 히든 참피언스 정책을 펴가는 과정에서 정치적인 행정적인 지원을 하는데 독일의 여야는 협조적이다.

 나노기술, 자동차 핵심 기술, 환경 정책 기술, 첨단의 건축기술 진행 과정에서 이들이 지닌 기능력을 마이스터 제도의 강화를 통해서 내부의 인력 기능력을 강화한 독일의 여야 정치지인의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정치적인 노력의 성과를 말하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우리나라가 기울여 발전 시킬 항목은 금융업과 제조업이 두가지의 날개다. 한분야만 강해서는 국가내의 일자리 창출을 하기가 쉽지 않다. 프랑스 정치인들이 자국의 회사가 외국에 나가서 비즈니스를 하려는 기업가들의 생각을 돌리기 위해서 해외에 가려는 자국의 기업들에게 공항에서부터 제동을 거는 움직임을 채택하려 숙고 중이다.

 미국의 MIT, 일본의 동경대학, 중국의 북경 대학, 싱가폴대학, 미국의 노덤 브리아(Northumbria) 대학, 홍콩 대학에서는 기술력을 지닌 고급 기술자외에 기능인력의 재교육 프로그램을 보다 전진적으로 강의를 개설하는 문제를 새로이 추진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장관 선발에 그렇게 오래 걸린다. 자당 정치적 이익을 먼저 생각해서 평가와 전망에 느린 행보를 보인다. 이러는 저속(低速)의 구석에서 해메는 사이에 경쟁 국가에서 선점의 기회를 놓치는 중이다. 충분한 검토의 시간은 갖지만 저속으로 46일간이나 여야가 심의한 정부 조직법 협상은 반성의 소지가 충분하다.

 제조업에서 특히 우리와 경쟁하는 이들 미국, 일본, 독일, 중국의 기능, 기술 인력 양성 정책 강화를 주시해야 한다. 우리는 더 우수한 기능 갖추기를 강화해가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