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전세반환보증료 지원사업'올해 610가구 선정,내년 지원인원 대폭 확대
상태바
'청년 전세반환보증료 지원사업'올해 610가구 선정,내년 지원인원 대폭 확대
  • 주성민 기자
  • 승인 2022.10.13 18: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특별시 로고)
(서울특별시 로고)

[서울=글로벌뉴스통신] 서울시가 전세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 올해 처음 시행한 「청년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사업」이 청년층의 큰 호응 하에 성공적으로 추진되었다. 

총 857 청년가구가 신청했으며, 이중에서 저소득순(36,743천원 이하 해당)으로 610가구를 선정하여 가입한 보증보험료 전액을 지원했다. 

1인당 평균 보험료는 163,578원으로, 총 1억원 사업예산으로 915억원의 청년자산을 지켜낸 셈이다.

지원대상은 만 19~39세 무주택 세대주로 전·월세임차보증금 2억원 이하, 연소득 4천만원 이하,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 및 납부완료한 청년 임차인이다.

보증금은 1억~2억원이 대부분(85.2%)으로 평균보증금은 148백만원이며, 전세가 대다수(86.6%)이나 월세인 경우 월세금액은 50만원 이하가 많았다. 

선정자 610가구를 대상으로 주거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 1인가구, 사회초년생이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이에 따라 주택유형도 오피스텔․빌라 등 깡통전세사기에 취약한 주택의 가입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분포도는 만 19~24세(9.2%), 만 25~29세(49.5%), 만 30~34세(33.3%), 만 35~39세(8%)로, 만34세 이하의 사회초년생이 92%이다.

가구원수는 1인(85.2%), 2인(12.3%), 3인(1.8%), 4인 이상(0.7%)으로 대부분이 1인가구이다.

주택유형 분포도는 오피스텔(46.2%), 빌라(42.3%), 아파트(7.9%), 주택(3.6%)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주로 사회초년생들이 거주하는 주택의 가입 비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지역별로는 강서구(18.4%), 금천구(8.7%), 영등포구(7.2%), 은평구(6.4%), 마포구(6.1%), 구로구(5.2%) 순으로 다세대빌라 밀집지역, 깡통전세율이 높은 지역의 신청자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비교. 타 자치구 거주 분포도 : 자치구별 1∼4%대)

선정자 610가구 중 실제 보증사고 피해경험이 있는 청년은 37가구였다. 이중 5가구는 보증사고가 발생했을 당시 사전에 보증보험을 가입해놓은 덕분에 보증기관으로부터 보증금을 회수할 수 있었다.

주요 보증사고 피해유형으로는 전형적인 전세사기 수법으로 주택이 강제경매로 넘어간 경우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계약기간이 지나도 세입자가 구해지지 않는다는 이유로 임대인이 보증금 지급을 미루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전세사기 피해자의 대부분은 2030 청년세대로 사회진출 초년생일수록 주거환경이 불안정하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청년가구의 주거불안을 해소하고 전세사기 피해예방을 위해 지원인원을 늘리는 등 보증료 지원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서울시는 올해 시범사업결과를 면밀히 분석하고, 청년당사자 및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통해 지원인원 확대, 지원기준 재검토 등 사업을 확대 개선해 나갈 것이다.

아울러, 국토교통부도 지난 9월 「전세사기 피해 방지방안」에 대한 계획을 발표하고, 그 일환으로 전세반환보증 가입률 증대를 위한 ‘청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료 지원사업’을 검토하고 있다. 국토부와의 협의를 통해 청년주거문제 해결을 위해 동사업을 확대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서울시가 올해 처음 시행한「청년 전세반환보증료 지원사업」에 대한 청년층의 열띤 호응을 보고, 청년층의 주거불안을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었다”며 “청년의 주거안정성 강화를 위한 정책 마련을 위하여 다각도로 힘쓰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