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상반기 신규채용, 27.8% 채용축소
상태바
대기업 상반기 신규채용, 27.8% 채용축소
  • 한월희 기자
  • 승인 2020.03.11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상반기 500대 기업 채용계획 ▲채용 없음 8.8% ▲채용 축소 19.0%, ▲채용계획 미수립 32.5%, ▲작년 수준 채용 34.1%, ▲채용 증가 5.6%
(사진제공:전경련) 2020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
(사진제공:전경련) 2020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

[서울=글로벌뉴스통신] 올해 상반기 중 국내 대기업 4개사 중 1개사는 작년 동기대비 채용규모를 줄이거나, 아예 한 명도 뽑지 않을 전망이다. 채용 계획을 확정하지 못한 기업도 3개사 중 약 1개사 꼴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 이하 ‘한경연’)이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종업원수 300인 이상 매출액 500대 기업을 대상으로 ‘2020년 상반기 신규채용 계획’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126개사 중 27.8%는 올해 상반기 채용을 축소하거나, 한 명도 채용을 하지 않을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 중 채용을 줄이는 기업은 19.0%이고, 한 명도 뽑지 않는다는 기업은 8.8%이다. 상반기 채용 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기업은 32.5%이며, 채용을 늘리겠다는 기업은 5.6%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대기업 채용 조사가 실시된 기간은 2월5일~2월19일로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하기 직전주1) 이었다”라며, “최근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음을 감안할 때, 대기업 고용시장은 이번 조사결과보다 훨씬 악화될 것”으로 우려했다. 

(사진제공:전경련)  4차 산업혁명 기술 중 인력 필요 분야
(사진제공:전경련) 4차 산업혁명 기술 중 인력 필요 분야

▣ 신규채용 못 늘리는 이유: ①국내외 경제 악화 ②회사 내부상황 악화 경력직 채용과 대졸 수시채용 증가할 전망

기업들이 대졸 신규채용을 늘리지 못하는 이유는 ‣국내외 경제․업종 상황 악화(43.6%) ‣회사 내부 상황 악화(34.6%) ‣신입사원 조기퇴사․이직 등 인력유출 감소(24.4%) ‣인건비 부담 증가(19.2%) ‣ 신규채용 여력 감소 (10.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올해 채용시장 특징에 대해서는 ‣경력직 채용 증가(62.7%) ‣대졸신입 수시채용 증가(51.6%) ‣정규직 전환형 인턴제도 도입 증가(26.2%) ‣인공지능(AI)을활용 신규채용 확대(26.2%) ‣블라인드 채용 확산으로 전형과정의 공정성 강화(15.1%) ‣채용연계형 산학협력 장학생 확대(7.1%) 등을 꼽았다. 한편, 대졸 신입채용에서 수시채용을 이미 도입한 기업은 52.4%, 도입할 계획인 기업은 14.3%로 조사되었다.

▣ 상반기 대졸채용 올해 전체의 58.6%, 이공계 비중 61.5%
4차 산업혁명 분야 중 빅데이터(63.5%) 인공지능(38.9%) 順 인재 필요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인원은 올해 전체 대졸 신규채용인원의 절반을 넘는 58.6%로 나타났다. 또한 상반기 대졸 신규채용 계획 인원 중 이공계 선발비중은 평균 61.5%를 보여 지난해 상반기(57.5%)보다 이공계 선호가 4.0%p 증가했다. 4차 산업혁명 12가지 기술 중 기업들이 가장 인력이 필요한 분야는 ‣빅데이터(63.5%) ‣인공지능(38.9%) ‣사물인터넷(24.6%) ‣첨단소재(21.4%) ‣로봇(20.6%) ‣신재생에너지(20.6%) 순으로 응답하였다.

▣ 대졸 신입사원 평균 연봉 3,999만원  
고용 확대정책 : 규제완화 통한 기업투자 활성화 > 세제혜택 인센티브 順

대졸 신입사원의 평균적인 연봉은 3,999만원(월 333만원)주2)으로 조사되었다. 응답 구간별로는 ‘4,000~4,500만원’ 32.5%, ‘3,500~4,000만원’ 27.7%, ‘3,000~3,500만원’ 18.3%, ‘4,500~5,000만원’ 13.5%, ‘5,000~5,500만원’ 4.0%, ‘5,500~6,000만원’ 1.6%, ‘3,000만원 미만’ 1.6% 순으로 나타났다.

대졸 신규채용을 늘리기 위해 정부와 국회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할 정책에 대해서는 ‣규제완화를 통한 기업투자활성화 유도(50.0%) ‣고용증가 기업에 세제혜택 등의 인센티브 확대(49.2%) ‣신산업‧신성장동력 육성 지원(35.7%)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31.7%) ‣미스매치 해소(19.0%) 순으로 지적되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