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마당
시청역은 경운궁역으로,명동역은 명례궁역으로, 을지역은 황단역으로,충무역은 목멱산역으로
icon 김민수
icon 2016-08-15 09:06:28  |   icon 조회: 2572
첨부파일 : -
시청역은 경운궁역으로,명동역은 명례궁역으로, 을지역은 황단역으로,충무역은 목멱산역으로



​과천청사역은 과주(果州)역으로,경마공원역은 율진(栗津)역으로,대공원역은 율목(栗木)역으로




황제,국왕의 묘호(廟號),조상의 시호(諡號), 인명(人名)을 도로명주소 금지하는 피휘(避諱)해야





문화재 지정 명칭 외국어 표기 한국인과 외국인이 모두 똑같은 발음으로 읽을 수 있도록 표기해야
















http://blog.naver.com/msk7613












지명(地名)은 우리 한민족의 문화(文化)와 역사(歷史)를 보여주는 문화재(文化財)이므로 회덕(懷德Hoideok),연기(燕岐Yeongi),황단(皇壇:Hwangdan),경운궁(慶運宮:Gyeongwoongoong),태묘(太廟:Taemyo),한성(漢城:Hanseong),보신루(普信樓:Bosinloo),둑신묘(纛神廟Dooksinmyo),둑도(纛島Dookdo),장충단(奬忠壇Jangchoongdan),평시서(平市署Peongsiseo),관제묘(關帝廟Gwanjemyo),위례(尉禮Wuilea),궐파(厥破Gweolpa),마전(麻田Majeon),풍양궁(豐壤宮Poongyanggoong),연희궁(衍禧宮Yeonheigoong),선농단(先農壇Seonnongdan),명례방(明禮坊) 이현(泥峴진고개)의 명례궁(明禮宮Meongneagoong) 등 역사(歷史) 문화(文化) 지명(地名)을 시도 및 시군구 명칭,도로명주소,버스정류장,전철역,학교·도서관 등 건물,대교,선박,공항,공원 명칭으로 부여하여 전통문화의 계승,민족문화의 창달을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 황제(皇帝),국왕의 묘호(廟號Myoho),조상의 시호(諡號Siho),위인의 인명(人名)에 쓰인 글자를 지명(地名), 도로명주소,버스정류장,전철역,건물,학교,선박(船舶),대교(大橋),공항,공원 이름에 사용하지 않는 피휘(避諱Pihwi)하여야 한다.과천청사역은 과주(果州)역으로,경마공원역은 율진(栗津)역으로,대공원역은 율목(栗木)역으로,뚝섬역을 둑도(纛島),둑신묘(纛神廟)역으로, 충무로역은 목멱산(木覓山)역으로, 종각역은 보신루(普信樓Bosin​loo)역으로, 광화문역은 기로소(耆老所)역으로, 명동역은 명례궁(明禮宮)역으로,안국역은 안동궁(安洞宮)역으로, 종로5가역은 이현궁(梨峴宮)역으로, 혜화역은 성균관(成均館)역으로, 종로3가역은 태묘(太廟),평시서(平市署)역으로, 제기역은 선농단(先農壇)역으로, 연세대역은 연희궁(衍禧宮)역으로, 서대문역은 돈의문(敦義門)역으로, 충정로역은 경기 감영(京畿 監營)역으로, 장충공원역은 장충단(奬忠壇)역으로, 동묘역은 관제묘(關帝廟)역으로 표기하여야 한다.












한성(漢城:Hanseong) 중앙에 종루(鍾樓) 보신루(普信樓Bosinloo), 어려서 죽은 대군이나 왕자, 공주, 옹주들의 제사를 지내는 수진궁(壽進宮Soojingoong), 명종의 아들 순회세자(順懷世子)가 살았던 용동궁(龍洞宮Yongdonggoong),국정 총괄,관청 통제하고 의견 조율하는 의정부(議政府Ueijeongboo),도읍 한성(漢城Hanseong)의 행정과 치안을 담당하는 한성부(漢城府Hanseongboo),어명에 의한 고관 추국 및 심판, 탄핵에 대한 판결하는 의금부(義禁府Ueigeumboo),관직 및 법령 서경, 관리 탄핵,감찰하는 사헌부(司憲府Saheonboo),직무 없는 당상관을 우대하기 위한 중추부(中樞府Joongchooboo),군무를 통괄하던 3군부(三軍府Samgoonboo),문관 인사,공신과 종친 관리하는 이조(吏曹Ijo)와 호구 파악,통계 기록,재정 출납하는 호조(戶曹Hojo),교육,외교와 문과 시행하는 예조(禮曹Yeajo),무관 인사,무과 시행하는 병조(兵曹Byeonjo),법령 담당,상급 재판 심리하는 형조(刑曹Hyeongjo),모임 인허가 및 평가,물품 관리,토목 공사를 담당한 공조(工曹Gongjo),70세 이상 정2품 이상의 퇴직 관리들이 국왕을 자문하는 기로소(耆老所Giroso), 궁중의 쌀, 베, 노비(奴婢)관리하는 내수사(內需司Naesoosa), 궁중에 주류(酒類)를 공급하는 사온서(司醞署Saonseo),기름‧꿀‧밀랍‧소찬(素饌)‧후추를 관장한 의영고(義盈庫Ueiyeonggo),염조(染造)를 관장하는 도염서(都染署Doreomseo),외국어의 통역과 번역을 담당한 사역원(司譯院Sayeokwon),가마 제작,어마(御馬),목장(牧場) 관리를 관장한 사복시(司僕寺Saboksi),노비(奴婢) 문서와 소송을 담당한 장예원(掌隷院Jangyeawon),제사(祭祀)와 시호(諡號)를 맡은 봉상시(奉常寺Bongsangsi),무기 제작을 담당한 군기시(軍器寺Goongisi),사신 접대와 연향(宴享) 담당하는 예빈시(禮賓寺Yeabinsi),감옥을 관장하는 전옥서(典獄署Jeonokseo),의학교육과 의학 취재(醫學 取才)를 관장한 전의감(典醫監Jeonueigam),백성의 죄를 다스리는 포도청(捕盜廳Podocheong),야간 순찰을 담당한 순청(巡廳Sooncheong),대동미(大同米) ·대동포(大同布) ·대동전(大同錢)의 출납을 관장한 선혜청(宣惠廳Seonheacheong),초제(醮祭)를 지내는 목멱신사(木覔神祠Mokmyeoksinsa),명례방(明禮坊) 이현(泥峴진고개)의 명례궁(明禮宮Meongneagoong), 황화방(皇華坊)에 조선국 왕실의 원찰(願刹)인 흥천사(興天寺Heungcheonsa) 명칭을 도로명주소로 부여하고 사적 지정 원형복원하여야 한다.









건춘문(建春門Geonchoonmoon) 앞에 흐르는 중학천(中學川Joonghakcheon), 인사동홍보관 남쪽의 의친왕의 친왕부(親王府)인 사동궁(寺洞宮Sadonggoong),대한국 황실 가례소 안동궁(安洞宮Andonggoong),사동궁(Sadonggoong) 남쪽의 순조의 장녀 명온공주(明溫公主)가 살던 죽동궁(竹洞宮Jookdonggoong),관직 및 법령 서경, 간쟁하는 사간원(司諫院Saganwon),황실 전적을 보관하는 규장각(奎章閣Ghoojanggak),도교의 초제를 주관하는 소격서(昭格署Sogyeokseo),국무(國巫)가 왕실의 복을 빌고 재앙을 물리치는 기은(祈恩)을 관장한 성수청(星宿廳Seongsoocheong), 도교의 태청(太淸), 상청(上淸), 옥청(玉淸) 3위(位)를 모신 삼청전(三淸殿Samcheongjeon), 공신(功臣)의 화상(畫像)과 동원비기(東園秘器)를 보관하던 장생전(長生殿Jangsaengjeon),종실(宗室) 규찰하고 선원보록 편찬하는 종부시(宗簿寺Jongboosi),국왕의 계보,의복 관리, 어진 봉안한 종친부(宗親府Jongchinboo),종친과 국왕의 외척,왕실 외손을 예우하는 돈녕부(敦寧府Donnyeongboo),공신(功臣)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 충훈부(忠勳府Choonghoonboo),국왕이나 왕세자의 사위 부마도위(駙馬都尉)가 속한 의빈부(儀賓府Euibinboo),대한국 황실 사당인 태묘(太廟Taemyo)를 관리하는 태묘서(太廟署Taemyoseo),조선국 최고의 교육기관 성균관(成均館Seonggyoongwan),궁중의 정원·화초·과실 관리하는 장원서(掌苑署Jangwonseo),총포(銃砲) 제작을 관장한 화기도감(火器都監Hwagidogam), 기기국(機器局Gigigook)의 무기고인 번사창(飜莎廠Beonsachang),원포(園圃) 관리, 소채(蔬菜) 공급을 관장한 침장고(沈藏庫Chimjanggo:사포서(司圃署Saposeo)),궁중 회화를 관장하는 도화서(圖畵署Dohwaseo),시전(市廛Sijeon)을 감독하는 평시서(平市署Peongsiseo),우유(牛乳) 공급을 관장하는 타락색(駝酪色Taraksaek),감고당(感古堂Gamgodang),서양식 근대 의료 기관인 광혜원(廣惠院Gwangheawon),선전(비단 상점),면포전(무명 상점),면주전(명주 상점),지전(종이 상점),저포전(모시,베 상점),어물전(생선 상점)의 육의전(六矣廛Yookeuijeon), 조선국 왕실의 원찰(願刹)인 원각사(圓覺寺Wongaksa) 명칭을 도로명주소로 부여하고 사적 지정 원형복원하여야 한다.















영추문(迎秋門Yeongchoomoon) 앞 인왕산(Inwangsan), 백운동천(白雲洞川Baekwoondongcheon), 옥류동천(玉流洞川Okrhoodongcheon), 정조(正祖)가 선희궁(宣禧宮Seonhueigoong) 배알(拜謁) 후 오르는 옥류동천 동쪽의 세심대(洗心臺Sesimdae),배화여고 건물 뒤에 백사 이항복의 집터인 필운대(弼雲臺Pilwoondae),윤덕영이 집을 건축한 옥류동(玉流洞Okrhoodong)에 옥같이 맑은 물이 흐르고 소나무와 바위가 어우러져 풍류를 즐기던 송석원(松石園Songseokwon),인왕동 옥류동천(Okrhoodongcheon)이 흐르는 수성동 계곡(水聲洞 溪谷Sooseongdong geagok)의 안평대군(1418∼1453)의 집 터에 있던 돌다리인 기린교(麒麟橋Giringyo), 영창대군의 어머니인 인목대비가 폐출되어 승하한 서궁(西宮) 인경궁(仁慶宮Ingyeonggoong),조선국 국왕을 생산한 후궁의 신주를 봉안한 사친묘(私親廟) 6궁(六宮Yookgoong),선조의 잠저(潛邸) 도정궁(都正宮Dojeonggoong),선왕(先王)의 후궁(後宮)이 여승으로 거처하는 자수궁(慈壽宮Jasoogoong),태종과 세종의 잠저(潛邸) 장의동본궁(藏義洞本宮Jangueidongbongoong),영조의 잠저(潛邸) 창의궁(彰義宮Changueigoong),효종의 잠저(潛邸)인 어의궁(於義宮Eoueigoong),수라상(水刺床) 감독,어명 전달,궐문 수직(守直)을 담당한 내시부(內侍府Naesiboo),사직단(社稷壇Sajikdan)을 관리하는 사직서(社稷署Sajikseo),선공감(繕工監seongonggam)의 분사(分司)인 분선공감(分繕工監Boonseongonggam),전시에 어명을 받아 장병을 지휘한 체찰사부(體察使府Chechalsaboo:체부청Cheboocheong),궁중의 생선,고기,소금,땔나무,숯을 조달한 사재감(司宰監Sajaegam), 포필(布匹)·지석(紙席)을 관장하는 장흥고(長興庫Jangheunggo),쌀·국수·술·간장·기름·꿀·채소·과일 공급,직조(織造),내연(內宴)을 담당한 내자시(內資寺Naejasi), 내구(內廐),연고(輦庫),마랑(馬廊)을 관리하는 내사복시(內司僕寺Naesaboksi), 염초(焰硝)를 굽는 사표국(司표局Sapyogook) 명칭을 도로명주소로 부여하고 사적 지정 원형복원하여야 한다.














건춘문(建春門Geonchoonmoon),영추문(迎秋門Yeongchoomoon),신무문(神武門Sinmoomoon),광화문(光化門Gwanghwamoon),동십자각(Dongsipjagak),서십자각(Seosipjagak),상림원(上林苑Sanglimwon),녹원(鹿苑Nokwon),향원정(香遠亭Hyangwonjeong),관저전(關雎殿Gwanjeojeon),충순당(忠順堂Choongsoondang),서현정(序賢亭Seohyeonjeong),취로정(翠露亭Chirojeong),삽혈 맹서하는 회맹제(會盟祭)를 거행하는 회맹단(會盟壇Hoimaengdan),태백성(太白星Taebaekseong)에게 제사지내던 제성단(祭星壇Jeseongdan),오운각(五雲閣Owoongak), 옥련정(玉蓮亭Okryeonjeong),남송(南宋) 연릉(延陵 ) 오거(吳据)의 글씨를 집자(集子)한 천하제일복지(天下第一福地Cheonhajeilbokji) 각자 바위, 벽화실(碧華室Beokhwasil),침류각(枕流閣Chimryoogak), 여덟 배미의 논을 만들어 놓고 8도의 종자를 뿌려 친경(親耕)하며 8도의 풍농을 기원하는 경농재(慶農齋Gyeongnongjae),군인들이 연습하는 중일각(中日閣Joongilgak),경농재 동편의 고조 광무제가 신하에게 칙지(勅旨)를 내린 대유헌(大有軒Daeyooheon), 경농재 북편의 인원왕후 탄강지와 같은 이름의 양정재(養正齋Yangjeongjae), 경농재(慶農齋(Gyeongnongjae)의 부속 건물인 관풍루(觀豊樓Gwanpoongloo), 경농재(Gyeongnongjae) 서편의 지희실(至喜室Jihueisil),문과 시행하는 융문당(隆文堂Yoongmoondang), 제향(祭享) 전에 경무대(景武臺Gyeongmoodae)로 나아가 서계(誓戒)를 받을 때 왕세자가 재숙(齋宿)한 춘안당(春安堂Choonandang) 추안당(秋安堂Chooandang),금위군(禁衛軍Geumweigoon)의 수직소(守直所)인 수궁(守宮Soogoong),무과 시행하는 융무당(隆武堂Yoongmoodang),나라에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 시행하는 경과(慶科),성균관(Seonggyoongwan) 유생의 경서(經書) 강독 시험인 전강(殿講),응제시(應製試) 시행과 제향(祭享) 전에 서계(誓戒)를 받는 경무대(景武臺Gyeongmoodae),비천당(丕闡堂Bicheondang),육영공원(育英公院Yookyeonggongwon) 학도들의 강론 시험인 응제시(應製試)를 시행한 태화궁(太和宮Taehwagoong) 명칭을 도로명주소로 부여하고 사적 지정 원형복원하여야 한다.





숭례문(崇禮門Soongleamoon) 밖 용산의 둔지산(屯地山Doonjisan)에 노인성단(老人星壇Noinseongdan)·원단(圓壇Wondan)·영성단(靈星壇Yeongseongdan)·풍운뇌우단(風雲雷雨壇Poongwoonnoiwoodan), 창의문(彰義門Changueimoon) 밖에 북교단(北郊壇Bookgyodan)·북방토용단(北方土龍壇Bookbangtoyongdan)·여제단(厲祭壇Yeojedan), 흥인지문(Heunginjimoon) 밖에 동적전(東籍田Dongjeokjeon),마보단(馬步壇Mabodan)·마조단(馬祖壇Majodan)·선목단(先牧壇Seonmokdan)·마사단(馬社壇Masadan),우사단(雩祀壇Woosadan)·동방토용단(東方土龍壇Dongbangtoyongdan)·선농단(先農壇Seonnongdan), 모화관(Mohwagwan) 서쪽 무악(毋岳)의 남쪽에 연희궁(衍禧宮Yeonheigoong), 연희방(燕喜坊)에 흥덕사(興德寺Heungdeoksa),병든 사람을 구호하고 치료한 서소문 밖에 서활인원(西活人院Seohwalinwon), 혜화문(Heahwamoon)인 동소문 밖에 동활인원(東活人院Donghwalinwon),선잠단(先蠶壇Seonjamdan), 두모포(豆毛浦Doomopo)에 제향(祭享) 및 발인 때까지 국왕,왕후의 관을 모시는 빈전(殯殿),수라간에서 쓸 얼음을 관리한 빙고(氷庫Binggo),제례에 쓸 희생(犧牲)을 기르는 전생서(典牲署Jeonsaengseo), 용산강(龍山江Yongsangang) 가에 시신(屍身)을 넣는 속 널과 겉 널 관곽(棺槨)의 제조, 장례(葬禮)를 관장한 귀후서(歸厚署Gwihooseo),창의문(彰義門Changueimoon) 밖에 장의사(壯義寺Jangeuisa),종이를 제조한 조지서(造紙署Jojiseo),돈의문(敦義門Donueimoon) 밖에 경기 관찰사(京畿 觀察使)가 집무한 경기 감영(京畿 監營Geongki gamyeong), 숭례문(Soongleamoon) 밖 서남쪽 9리에 배로 실어 온 세곡(稅穀)을 거둬들이는 군자강감(軍資江監Goonjaganggam)과 풍저강창(豐儲江倉), 소의문(昭義門Soueimoon)인 서소문 밖 11리에 배로 실어 온 세곡(稅穀)을 거둬들이는 광흥강창(廣興江倉Gwangheunggangchang)과 풍저강창(豐儲江倉Poongjeogangchang),1895년 일본군국주의(日本軍國主義)가 명성황후(明成皇后)를 살해한 을미왜란(乙未倭亂)에 일본군을 물리치다 순국한 시위대(侍衛隊) 연대장 홍계훈(洪啓薰) 등 충신들을 제향하는 목멱산(木覓山Mokmeoksan) 동쪽 아래의 장충단(奬忠壇Jangchoongdan),관우(關羽)의 사당(祠堂)인 관제묘(關帝廟Gwanjemyo),풍양궁(豐壤宮Poongyanggoong),연희궁(衍禧宮Yeonheigoong),위례(尉禮Wuilea) 명칭을 도로명주소로 부여하고 사적 지정 원형복원하여야 한다.












문화재 지정 명칭은 황제,국왕의 묘호(廟號),조상의 시호(諡號), 인명(人名)을 피휘(避諱)하고 옛 도읍인 고도(古都 Godo)의 옛 궁궐인 고궁(古宮 Gogoong) 명칭 · 궁장(宮墻 Goongjang) 밖 중앙관아인 궐외각사(闕外各司 Gwaloigaksa) 명칭·황제릉(皇帝陵 Hwangjereung) ·왕릉(王陵 Wangreung)· 왕세자, 사친의 원(園 Won)·왕족 무덤·조개무덤·고인 돌(Goin dol)·선 돌(Seon dol)·굴집(Gooljip) ·태실(胎室 Taesil), 제단(祭壇Jedan) ·지방 관아(官衙 Gwana) ·옛 사찰(寺刹 Sachal)·실록(實錄)을 보관한 사고(史庫 Sago)·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成均館Seongkyoonkwan) · 동부학당(Dongboohakdang)·서부학당(Seoboohakdang)·남부학당(Namboohakdang)·중부학당(Joongboohakdang)의 4학(四學Sahak) · 서원(書院Seowon) ·향교(鄕校Hyanggyo) ·선조(先祖)나 선현(先賢)의 신주(神主)나 영정(影幀)을 모셔두고 배향하는 사우(祠宇Sawoo), 성곽(城郭Seonggwak) ·성(城Seong) ·관문(關門Gwanmoon) ·봉수대(烽燧臺Bongsoodae)·옛 전적지(戰跡地Jeonjeokji)·수영(水營Sooyeong) 병영(兵營Beongyeong), 옛 길·강이나 바닷물을 막아 두기 위하여 쌓은 둑인 제언(堤堰Jeeon)·도자기를 굽는 가마(Gama) ·시장(市場Sijang) ·교지(橋址Gyoji)·석표(石標Seokpyo),고택(Gotaek) ·궁궐 안에 있던 후원인 상림원(上林苑 Sanglimwon)·정천(井泉Jeongcheon)·지당(池塘Jidang) 등의 역사 문화 지명(地名)을 도로명주소로 부여하여야 하며 문화재 안내문의 문화재 지정 명칭 외국어 표기는 고조 광무제(高祖 光武帝 Gojo Gwangmooje),명성황후(明成皇后Meongseonghwanghoo),훈민정음(訓民正音:Hoonminjeongeum),태극기(太極旗:Taegeukgi),동대한해(東大韓海DongDaehanhae),독도(獨島:Dokdo),황단(皇壇:Hwangdan),경운궁(慶運宮:Gyeongwoongoong),인화문(仁化門:Inhwamoon),대안문(大安門:Daeanmoon),상림원(上林苑 Sanglimwon),태묘(太廟:Taemyo),한성(漢城:Hanseong),보신루(普信樓:Bosinloo),태실(胎室 Taesil),장충단(奬忠壇Jangchoongdan),목멱산(木覓山Mokmeoksan),숭례문(崇禮門Soongleamoon),백자(白磁 Baekja),서강(西江 Seogang),용산강(龍山江Yongsangang),한강(漢江 Hangang),감고당(感古堂Gamgodang),위례(尉禮Wuilea)와 같이 한국인과 외국인이 모두 똑같은 발음으로 읽을 수 있도록 표기하여야 한다.
2016-08-15 09:06:28
39.118.17.188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